독서/경제경영

하면 된다! 퀀트 투자 - 강환국

경자이졸꾸 2021. 12. 12. 09:09
반응형

하면 된다! 퀀트 투자 - 강환국

 
투자를 통해 돈을 벌고 싶다면 알아야 할 기술이 3가지가 있다. 자산배분, 마켓 타이밍, 종목 선정이다. 자산배분의 기대 수익률과 위험 수준이 다른 자산군(주식, 채권, 금, 원자재, 부동산, 암호화폐)등에 투자 자금을 배분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주목적은 높은 수익이 아니라 적절한 수익을 유지하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것이다. 마켓 타이밍은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이 기대되는 자산군의 비중을 늘리고 단기적으로 낮은 수익이 기대되는 자산군의 비중을 낮춰서, 리스크는 자산배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되 수익을 높이려는 전략이다. 종목선정은 자산군 내에서 가장 유망하다고 판단하는 종목의 자금을 투자해서 수익 극대화를 추가하는 행위다.

 

퀀트 투자는 구체적인 매수와 매도, 보유 규칙을 따르는 '규칙 기반' 투자다. 퀀트 투자의 규칙은 기업의 재무 데이터, 자산의 가격 등 계량화가 가능한 수치만 사용한다.
 
왜 퀀트 투자인가?
퀀트 투자의 계량화와 규칙 기반 투자는 장점이 여럿 있다. 구체적인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데이터만 있으면 어제 투자를 시작한 초보자라도 당장 따라할 수 있다. 이렇게 객관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식당 레시피가 있으면 주방장이 바뀌어도 후임이 곧바로 따라 만들 수 있듯이 퀀트 투자는 전략 규칙만 확보하면 누구든 따라 할 수 있다.
장점 또 하나는 매수와 매도 전략이 명확함으로 테스트를 통해 과거 수익, MDD, 손실 만회 기간, 보유 종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투자를 망치는 심리적 편향
손실 회피 편향 + 처분 효과 편향, 과잉 확신 편향, 확증 편향(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투자 중독, 전망 망상 편향, 통제 환상 편향, 사후 편향(의사결정의 질을 과정보다는 결과로 평가하는 것), 통계 감개 결여+스토리텔링의 폐해, 권위 편향+호감 편향, 일관성 결여
 
*우리 두뇌는 투자하면 망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사람의 주관이 투자 과정에 개입하는 것이 모든 불행의 시작이다.
손익계산서에서 돈 되는 지표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PS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매출총이익은 영어로 Gross Profits(GP)다. GP를 총자산(Assets,A)으로 나순 GP/A가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시가총액을 영업이익으로 나눈 POR 지표가 낮은 기업, 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또는 전 분기 대비 크게 성장한 기업, 마지막으로 기업 가치(Enterprise Value, EV)를 영업이익으로 나눈 EV/EBIT 지표가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EV = 시가총액 + 차입금 - 현금성 자산
EBIT = 영업이익과 동일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눈 PE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또는 전 분기 대비 크게 성장한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재무상태표에서 돈 되는 지표
-자산 증가율이 낮은 기업의 주식 수익률이 높다.
-유동자산에서 부채총계를 뺀 금액이 보수적으로 보는 기업의 '청산가치'다. 청산가치가 시가총액보다 높은 기업의 주식수익률이 높다.
-시가총액을 자본총계로 나눈 지표가 PBR인데 이 PBR이 낮은 기업의 주식 수익률이 높다.
-차입금을 자본총계로 나눈 '차입금비율'이 개선되는 기업, 영업이익이 차입금 대비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 수익률이 높다.


현금흐름표에서 돈 되는 지표
-시가총액을 영업활동현금흐름으로 나눈 지표가 PCR인데 이 PC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시가총액을 잉여현금흐름으로 나눈 지표가 PFCR이며, 이 PFC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배당을 주는 기업의 주식이 배당을 주지 않는 기업의 주식보다 수익률이 높다. 또한 배당금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배당수익률 지표가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마지막으로 배당금을 수익으로 나누면 배당성향을 알 수 있는데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배당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즉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의 주식 수익률이 높다.


11~4월 천국, 5~10월 지옥
세계 거의 모든 국가에서 11~4월 수익률이 5~10월 수익률보다 월등히 높고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십일사천국, 오십지옥!!"
불멸의 NCAV전략
NCAV는 우리말로 '순유동자산'이며 기업 유동자산에서 부채총계를 빼서 산출한다.
그레이엄은 <증권분석>에서 각 자산의 청산가치를 아래와 같이 추정했다.

기업의 청산가치로 비유동자산을 포함하지 않는 순유동자산을 선택했다. 비유동자산이 없는 셈 치고 가치를 0으로 평가해서 청산 가치를 매우 보수적으로 측정했다. 오리지널 NCAV전략은 흑자를 내고 청산가치(순유동가치)가 시가총액보다 50%이상 높은 기업을 매수하는 전략이다. 한국시장에서 2000/10/31부터 2020/12/31까지의 연복리수익률은 23.4%였다. 그레이엄이 연복리수익률 20%를 벌었던 이 전략이 21세기 대한민국에서도 20%이상을 번 것이다!
그런데 전략에 적합한 초저평가 주식이 매우 적은 경우가 많고, 2007년 4월과 2010년 10월에는 단 한 개도 없었다. 그래서 전략을 다소 완화해서 백테스트를 다시 했다.

2000/11~2020/12 까지의 연복리수익률은 24%에 달한다!!

어쨋든 놀라운 점은 이것이다.
-이런 심플한 투자 전략이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연복리 24%라는 놀라운 수익을 기록했다. 그것도 공개된 지 거의 90년이 되는 전략이!!
-NCAV 전략은 우수하지만 일시적으로 통하지 않는 구간이 꽤 길 수 있다. 특히 2002년~2003년과 2008년 수익은 처참했다.
-모든 주식이 고르게 올라준다고 생각하면 매우 곤란하다. 연복리 24% 포트폴리오에는 기업이 파산에서 100% 손실이 난 주식도 있고 6개월만에 589% 오른 주식도 있었다. 이렇게 많이 또 적게 오르는 주식들이 합쳐져서 연복리 24%를 만드는 것이다.

퀀트 전략은 소형주에서 수익률이 훨씬 높다.
수십 년간 아주 우수한 전략을 낸 퀀트 전략도 중간에 3년, 5년, 7년,10년까지도 부진 할 가능성이 있다.
PER, PBR, PCR, PSR 등 밸류 지표가 우수한 '저평가된 기업(가치주)'의 주식 수익률은 매우 높다. 이때 밸류 지표를 하나만 보지 말고 여러 지표를 같이 보는것이 유리하다.
​GP/A는 매출총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지표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이 매출총이익이다.

한국시장(2001/04~2020/12)에서의 연복리수익률은 무려 45.62%에 달한다.
 
F-스코어에서 한국시장에 유의미한 지표 3개(신F-스코어)
*신규 주식 발행 : 최근 1년간 유상증자를 해서 자본금이 늘어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은 주식 수익률 차이가 매우 크다.
* 순이익 흑자 여부 : 최신 분기 순이익이 0 이상인 기업(흑자 기업)과 0 이하인 기업(적자 기업)은 주식 수익률 차이가 매우 크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흑자 여부 : 최신 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이 0 이상인 기업(흑자 기업)과 0 이하인 기업(적자 기업)은 주식 수익률 차이가 매우 크다.


저평가 기업을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EV/EBIT : 토비아스 칼라일이 미국주식시장에서 최근 50년간 가장 효용이 높았다고 주장하는 밸류 팩터.
*PFCR : 잉여현금흐름은 가치투자의 원톱인 워렌 버핏이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지표인데, 이 지표가 엮인 PFCR이 우수한 기업의 주식이 한국에서 어느 정도 수익률을 내는지 궁금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저 PER전략의 수익성이 더 좋았다. 둘 다 훌륭한 밸류 지표이지만 한국에서는 미국처럼 EV/EBIT가 PER을 앞서지는 못했다.
 
PFCR = 시가총액/잉여현금흐름
한국에서도 PFCR이 낮은 기업의 수익률이 높았다.
 
​하우겐이 분석한 12개 시장 전부에서 변동성이 낮았던 주식이 미래 변동성이 낮고, 수익률이 높고, 샤프지수도 더 높았다. 한국시장에 백데이터를 돌린결과 '대체적으로 주가 변동성이 낮은 기업이 높은 기업보다 주식 수익률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에 해당하는 주식의 수익률이 매우 높다.
*분기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크게 증가한 기업
*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기업
*분기 순이익이 전 분기 대비 크게 증가한 기업
*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기업


연복리수익률이 무려 47.6%다!!   ​
 
영구 포트폴리오 투자전략

연복리수익률은 8.7%로 지금까지 본 전략보다 훨씬 낮다. 그런데 MDD가 12.7%! 50년 투자해서 최악의 순간에 잃는 금액이 12.7% 밖에 안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