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산업

스테그플레이션 맞춤형 투자법(F.전인구연구소)

경자이졸꾸 2021. 8. 14. 07:06
반응형

스테그플래이션 맞춤형 투자법(F.전인구연구소)


전인구경제연구소 유투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znImSIaxZR7fdLCICLdgaQ


요즘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과연 스테그플레이션은 올것인가?
오게 됐을때 내 자산은 어떻게 될지, 그리고 어떤 투자를 해야될지 알아보자.

미국의 경제 공황기에는 항상 스테그플레이션이 왔었는데 스테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

경기불황 + 물가상승이 동시에 오는것을 뜻한다.
즉, 물가가 하락할때 오는 경기불황과 경기가 좋아질 때 오는 물가상승 등 단점만 가져온게 스테그플레이션이다.
그래서 정책을 만들기가 굉장히 어렵다.

경기는 불황이고 물가는 상승했으니 이렇게 하자니 저게 문제가 되고 저걸 하자니 이게 문제가 되면서 굉장히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 스테그플레이션이다.

그렇다면 스테그플레이션은 왜 벌어질까 ?

지금 금리를 내리고 달러를 무한대로 푸는 정책을 펼쳤다.
이게 잘 됐을 경우에는 소비가 진작이 되고 고용과 투자가 증가한다.
그리고 경기가 활황이된다.
세수가 증가하면 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다.
잘 됐을 경우에는 풀었던 돈을 회수 가능하고 경기과열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잘못됐을 경우 소비가 늘지않고 오히려 감소한다.
저축이 증가하며 통화승수가 떨어진다.(돈이 시중에 잘 돌지 않는다.)
그럼 경기가 죽는다는 얘기다.
그러면 당연히 투자가 줄고 고용도 줄어든다.

그렇다면 풀었던 돈들은 어디로 갈까 ?

주식이나 부동산으로 가면서 버블이 형성된다.
그러면 경기가 침체가 되면서 풀렸던 자금회수를 위한 금리인상을 하지 못하게 된다.
풀린 돈들은 돌아오지 못하고 계속 물가폭등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지금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는 것이다.

스테그플레이션이 오기위한 선행조건으로는 일단 경기침체가 있어야 되는데 코로나로 인해 경기침체가 왔고 여기에 미중무역분쟁, 코로나를 통해서 무역량 감소 + 보호주의가 팽배한 상황으로 지금은 스테그플레이션이 오기 딱 좋은 상황이다 보면 된다.
여기에 물가상승이 더해지면 스테그플레이션인데 보호주의가 벌어졌다.
마스크나 백신등을 봤을 때 해외 공장에 있다보니 돌아오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정말 필요한 것들은 해외에 공장짓지 말고 우리나라 안에다 짓자는 보호주의가 팽배해졌고 리쇼어링이 유행하게됐다.
4차산업이 발달하면서 굳이 인건비 때문에 해외에다가 공장을 지을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러니 당연히 제품 단가가 올라가기도 하고 무역이 줄어들고 세계적인 경제 교류가 많이 하락하게 된 것이다.
게다가 부동산 가격도 상승중이다.
경기는 안좋다 하는데 한국, 대만, 미국등 부동산 가격은 골고루 오르고 있다.
그렇다는 얘기는 임대료가 증가한다는 것이고 4차산업으로 기술혁신은 벌어졌는데 제품가격은 떨어지질 않는다.
수익은 소수 대기업에 집중이 됐고 4차산업 혁명으로 유통 과정이 줄어들면서 빈익빈 부익부가 더 벌어졌다.
(유통과정이 줄어든다는 얘기는 중간유통과정이 없어지면서 중간유통과정에 있던 노동자들은 일자리가 없어졌다는걸 뜻한다.)

유동성 공급으로 인해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물가가 자연스럽게 오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지금 미국의 재정적자랑 맞물리면서 달러의 가치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값이 상승하는 근본적인 이유도 달러가치의 하락 때문이다.(반대로 금값이 하락하는 이유는 달러가치의 상승의 이유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막으려면 금리인상을 하거나 유동성 회수를 해야한다.
지금 델타변이도 확산되고 있고 경제가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일을 벌였다하면 바로 경제 충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니 지금 유동성 회수 및 금리인상을 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수요가 늘어나서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을 기대하는게 연준인데 지금은 그게 아니라 그냥 비용만 늘어나서 물가가 오르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스테그플레이션이 올수 있다는 걱정들이 나오고 있다.

유가도 최근 중동국가들의 갈등으로 크게 엄청나게 상승했다.
경제는 나쁜데 유가가 올라서 물가만 올라가는 스테그플레이션이 바로 벌어질 수 있다라는 우려가 있다.
유가가 올라버리면 저성장 - 고물가 라는 스테그플레이션이라는 괴물이 탄생할텐데 여기에 코로나까지 해결되지 않은 상태가 됐기 때문에 굉장히 꼬여버리는 것이다.

스테그플레이션 하나만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물가를 잡는 것이 핵심인데 환율을 낮춰야한다.
환율을 낮추려면 금리를 올려야하고 그 과정에서 기업들과 서민들이 힘들어 질 것이다.
그 후에 경기부양을 해서 고용을 늘리고 투자를 늘려서 다시 선순환으로 바꾸는 것이 스테그플레이션의 해결책이다.
보통 이과정이 일시적인데 1년 ~ 3년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스테그플레이션은 어쨋든 일시적이니까 해결을 하면 되는데 이념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한마디로 얘기하면, 사회주의를 더 빨리 당겨오게 한다는 것이다.
스태그플레이션 해결과정이 어렵다보니 1년에서 3년정도 국민들이 고통받을수 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인 불안이 오게 되는 것이고 시위가 벌어지고 지도자가 물러나는 일이 많아진다.
1930년 대공황 이후에 공산주의가 그래서 인기를 끌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벌어지면 이념전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빈익빈 부익부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스태그플레이션 투자법은 ?

1974, 1975년에 1차 오일쇼크가 발생해서 국내 스태그플레이션 때 소비자 물가가 1년에 25%가 급등했었고 경제성장률은 5.9% ~ 7.2%로 하락을한다.
집값도 1974년에 10%, 1975년에 15% 하락했다.
10%, 15%이렇게 얘기하면 "별거 아니네"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평균이라는 조건을 이해하면 실질적인 체감하락은 더 심했을 것이다.
다행히 집값은 75년에 바닥을 찍고 회복해서 76년에는 5% 상승을 했다.
2차 오일쇼크로 1980년대에 스태그플레이션이 또 왔는데 이때 물가가 28% 폭등하고 경제성장률은 1.5% 하락했다.
82년까지 3년동안 하락세를 보인 다음에 83년에 15%정도 크게 상승한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것으로 예상하고 집을 판다라고 하는건 타이밍을 맞추려는 건데 타이밍 예측은 신의 영역이다.
타이밍을 예측했다 하더라도 정부가 적절히 대응을 잘한다면 생각보다 하락폭은 적을 수 있다.
1주택자는 상관이 없겠지만 다주택자들의 경우 레버리지를 크게 사용중이라면 채무부담으로 견디지 못하고 일부 물건이 경매로 넘어갈 수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헤지 수단은 금투자다.

금같은 경우는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에도 방어가 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에서 더 위력을 발휘한다.
보통 금가격이 한배 오르면 금광회사 기업은 두배 가까이 오르더라 라는 데이터를 볼 수 있다.
금광회사에 투자를 한다면 금값이 다시 하락하더라도 금광회사는 금을 제련해서 수익을 내고 배당을 주기 때문에 이자가 생기는 투자이다보니 하락하든 오르지 않든 오르든 간에 장기로 버텨볼 수 있는 투자가 된다는 것이다.

1차 오일쇼크 전인 1970년에는 금가격이 38달러였다.
2차 오일쇼크인 1980년에는 금가격이 710달러 까지 올라간다.(18배 상승)
글로벌 금융위기가 벌어지기 전인 2007년 8월까지는 600달러대 였던 금가격은 2011년에 1900달러까지 터치를 한다.
경제위기가 오면 국가는 돈을 풀고 화폐가치가 흔들리면 금가격은 상승하게 된다.
결국 금은 이런 목적일 때 괜찮은 투자가 된다.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가능성은 높다.
그렇지만 세계가 잘 대처해서 큰 문제없이 잘 극복해날갈 수 있는거라는 생각은 열어둬야한다.

그래서 무조건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것이다 생각하기 보다는 이런일이 벌어질 것을 대비해보자, 라는 마인드로 자산을 주식, 부동산 몰빵이 아니라 현금도 좀 보유하고 금이나 대체자산(채권,달러등) 비중도 늘리면서 리스크 관리를 해두는게 어떨까 생각해본다.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지키는 것이다.

전쟁에서 갑옷을 벗으면 더 빨리 달릴 수는 있다. 하지만 더 오래 생존할 수가 없다.
우리는 굉장히 오랜 시간 투자를 해야하는 투자자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의 수익률 보다는 앞으로의 노후를 생각하는 길게 보는 안목을 가졌으면 좋겠다.

CBDC란? , CBDC 산업 및 장단점 정리(F.롱앵커)

CBDC란? , CBDC 산업 및 장단점 정리(F.롱앵커) ​ 롱앵커님 유투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dmLd3DuP_M8detDzV2Pdcw ​ 요즘 뉴스에서 CBDC란 단어를 많이 보았을 것이다. 새로운 암호화폐인가 생각..

economicfreedomjgg.tistory.com

폐배터리 관련주,​ 2030년까지 15배 성장??(F.달란트투자)

폐배터리 관련주,​ 2030년까지 15배 성장??(F.달란트투자) 2차전지 다음 오를 주식 | 2030년까지 15배 성장할 기업과 관련주 달란트투자 유투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BM86JVoHLqg9irpR2XKvGw 요즘..

economicfreedomjg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