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플레이션 2

부의 대이동 - 오건영 -

부의 대이동 - 오건영 - 환율 = 비교를 통해 완성되는 돈의 값 달러/원 환율 상승 > 달러 가치 상승 > 원화 가치 하락 달러/원 환율 하락 > 달러 가치 하락 > 원화 가치 상승 구축효과 - 정부가 재정 지출을 위해 국채발행을 늘리면 민간의 투자가 쫓겨나는, 즉 구축되는 효과 이머징 국가 - 새로이 급성장하고 있는 국가들을 뜻하는 말로, 이전의 '개발도상국'보다 좀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골드만삭스의 경제학자 짐 오닐이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로 신흥 경제 4개국을 의미한다.)'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이후로 유명해졌다. 달러는 앞으로도 강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 달러가 과거 강세를 보인 이유 첫째, 미국 중앙은행인 FED의 기준금리 인상 때문 ..

독서/경제경영 2021.06.02

인플레이션 우려, 성장주 팔고 가치주로??

요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주식시장이 불안 불안하다. 과연 정말 인플레이션은 올것인가? 아니면 연준의 말처럼 지금의 물가상승은 일시적이며 테이퍼링에 대한 걱정을 미리 준비해야 하는가? 오늘자 기사에는 투자자들에게 돈나무누나라고 불리는 캐시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CEO의 인터뷰와 오크트리캐피탈 회장, 투자와 마켓사이클의 저자로 유명한 하워드 막스의 인터뷰가 실렸다.

경제신문 2021.05.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