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황 3

2월7일 시그널리포트

자청님의 역행자를 읽고 하루 5분 글쓰기를 실천하려했지만 이마저도 쉽지않다... 이유인 즉슨.. 5분글쓰기로 간단하려 쓰려다가도 쓰다보면 욕심이 생겨서 길게 쓰게 된다. 오늘은 최대한.. 요약해서 써보자. 해외증시 - 미국 지금은 새벽1시 11분.. 현재 미장은 진행중이고 하락중이다. 이유는 그저께 새벽에 발표되었던 미국의 고용지표 때문. 관련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30206030251002?input=1195m 美 고용호조에 환율 20원 가까이 급등…1,240원대(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6일 오전 원/달러 환율이 20원 가까이 오르며 출발했다. www.yna.co.kr 실업률은 3.4%로 1969년 5월 이후 거의 54년만에 최저치..

일상 2023.02.07

1월30일 마감시황 및 특징주

국내증시 금요일저녁에 미국증시가 좋았고 야간선물도 0.4%정도 상승마감했기에 월요일 장은 괜찮을거라 생각했는데 좋지 못했다. 최근 증시흐름이 좋았기에 주식을 더 사고 싶은 욕구가 강했다. 하지만 ADR지표를 보면서 참았다. 지금은 과매수구간이라 단기간엔 상승종목보다 하락종목수가 많을 확률이 높다. 2022년... 10종목중 1~2종목만 상승하는 장에서 내가 그 1~2종목을 고를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확률이 떨어지는구간에서도 승부를 보다 손실이 커졌었다. 올해는 그런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위해 절제, 인내심을 기르는 중... 지금 관심있는 종목들이 몇 있지만 기다려보는중이다. 조정없이 상승하는 놈들은.. 걍 보내주자... 시황은 딱히 얘기할 만한게 없다. FOMC회의를 앞두고 최근 증시가 많이 올랐기에 더욱 ..

일상 2023.01.30

1월28일 시그널리포트

해외증시 올해들어 미국증시는 뜨겁다. 나스닥이 1월이 다 안끝난지금 나스닥지수는 11%가 올랐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12월 개인소비지출(PCE)물가지수는 전년비 5%올라 상승세가 전달 2.2%에 비해 둔화됐다. 근원PCE물가지수도 전년비 4.4% 상승해 전달 4.7%에 비해 둔화됐다. 또한 지난해 4분기 GDP성장률은 2.9%로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치 2.8%를 웃돌아 경기 연착륙기대감을 높였다. 확실히 물가는 정점을 찍고 내려가는분위기. 10년 국채 수익률은 3.517%, WTI는 79.6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1230.03원. 정말로 올해 1100원대를 다시 볼 것인가..? 대부분의 환율전문가들은 1100원대까진 가지 않을것으로 보나 급격한 상승마저 없을거라는 분위기다. 아직 경기침체가 본..

일상 2023.01.28
반응형